Friday, January 17, 2020

Germany #1 - 한국에서 독일 비자받기 vs 독일에서 거주 허가증 받기

한국에서 독일에 이주하기전에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 것중 한가지는 이것일 것이다.

한국에서 미리 독일 비자를 받고 오는 것이 좋을까? 아니면 일단 90무비자 입국으로 독일에 입국 후 현지에서 처리하는 것이 좋을까?

음...정답은 없지만 개인적으로 후자를 추천드립니다.

이유를 미리 말씀드리면 어짜피 독일 현지에 와서 생산적인 활동(?)을 위해서는 한국에서 받은 비자 상관없이 거주 허가증(Aufenthaltstitel)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단, 모든 서류는 한국에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Aufenthaltstitel: https://de.wikipedia.org/wiki/Aufenthaltstitel


생산적인 활동을 위한 거주 허가증 (Aufenthaltstitel)


여기서 생산적인 활동이라고 하면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학생신분으로 공부하기 (+ 등록금 혜택받기)
2. (독일에서 세금을 내며) 직장에서 일하고 월급받기
3. (독일에서 세금을 내며) 개인 사업하여 수익내기
4. 아동수당(Kindergeld) 및 부모수당(Elterngeld) 받기
5. 기타등등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처음 독일에 왔을때 한국연구재단에서 펀딩을 받았기 때문에 쉽게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저와 가족 모두1년짜리 비자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많은 돈을 지불했습니다ㅠㅠ

그리고 그 거주 허가증 없이도 집도 구하고, 안멜둥(Anmeldung)도 하고, 가족 개개인 모두 고유식별번호(Identifikationsnummer) 계좌(N26)도 만들고, 모바일과 인터넷도 계약하고, 심지어 독일 운전면허 교환도 했습니다.

그렇게 3달 정도가 지났고, 어느정도 자리가 잡혀갈때 쯤 두 아이의 킨터겔트(Kindergeld)를 신청해야 되야 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참고로 킨더겔트는 6개월까지 소급됩니다.)

킨더겔트에 필요한 서류들을 다 준비하고 온라인으로 킨더켈트 신청서를 제출하고 응답을 기다렸습니다. (온라인으로 킨더겔트 신청하는 방법은 추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그렇게 1달정도가 지났고 편지가 하나 날라왔고 이렇게 적혀 있었습니다. "킨더겔트를 받을 수 있는 최우선의 조건은 거주 허가증이 있어야 된다."

엥? 이게 뭐야? 말이야 똥이야?

분명 킨더겔트 신청할때 11자리 고유식별번호를 넣으라고 해서 다 넣었는데 이것이랑은 상관없이 거주 허가증이 있어야 된단는 것입니다. 하하하하하하하하

그래서 그날 즉시 테어민을 잡으러 드레스덴 Welcome Center로 향했지만, 2달 뒤에나 줄수 있단다... (이놈의 독일놈들...) 따라서 독일에 온지 6개월이 되서야 거주 허가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드레스덴에서 박사과정 이상 및 일을 하는 외국인은 외국인청이 아닌 Welcome Center로 가면 아주 쉽게 일을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아마 다른도시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아무튼 그리고 다시 (6개월소급 포함) 킨더겔트를 신청했고 이렇게 답변이 왔습니다. "거주 허가증을 받은 시점인 그 달부터 두 아이 모두 킨더겔트를 받을 수 있어, 하지만 이전 6개월은 거주 허가증이 없기 때문에 소급대상은 아니야..."

한 아이당 대략 200유로의 킨더겔트를 받으니까 2명이 6달동안 못받았다면...2,400유로 (대량 한화 310만원)가 날라갔다. 하하하 다시 생각하니 헛웃음만 나온다.

또한 둘째가 6개월때 독일에 왔기 때문에 와이프 이름으로 엘턴겔트(Elterngeld)를 신청하면 매달 300유로씩 6개월 받을 수 있었는데...아무튼 그것도...바람속으로 사라졌...


비자(Visum)와 거주 허가증 (Aufenthaltstitel)은 다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선 비자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외국인에 대한 출입국 허가의 증명"

그렇다! 비자는 외국인인 나와 내 가족이 비자에 명시되어 있는 기간동안 독일이라는 나라에 출입국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거다.

그렇다면 거주 허가증은?

거주 허가증을 받아보시면 알겠지만... 거기에는 내가 여기서 언제부터 언제까지 학생신분인지, 직장인인지, 연구원 신분인지, 일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 내가 일할 수 있는 범위가 무엇인지, 법적인 근거가 무엇인지, 동반가족인지 등등의 내용이 적혀있습니다.

그러나 비자에는 이런 내용이 없고 비자기간이랑 비자의 타입정도만 적혀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주 허가증이 독일을 출입국할때 비자 대신의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앞서 말씀 드렸듯이, 내가 내 돈으로 이것저것 소비만 하며 살았을 때는 별 문제가 되지 않았어요. 하지만 독일 내에서 제공하는 혜택들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법적인 근거가 필요한데 그게 바로 비자(Visum)가 아닌 거주 허가증(Aufenthaltstitel)인 것입니다!

단적으로 예로 킨더켈트만 예를 들었지만, 독일에서 학생신분으로 받는 혜택들 또는 직장인신분으로 받는 혜택들이 있는데...그것들을 받기 위해서는 거주 허가증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결론은 한국에서 괜히 돈들이지말고

무비자입국한 다음에 여기서 처리하자!



Friday, November 2, 2018

PostDoc #2 - 포닥 펀딩 Fellowship & Scholarship

현재 저는 한국연구재단의 2018 박사후국외연수 사업에 선정되어 2018년 8월에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9월부터 독일 드레스덴 공대 (TU Dresden)로 아내와 두아이를 데리고 떠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가족들과 함께하는 포닥생활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펀딩만큼 중요한게 없을꺼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저는 박사후국외연수 사업이 안되면 그냥 포기할려고 했습니다 ㅠㅠ)

그래서 저는 독일 현지 교수님과 처음에 컨택을 할때도 포닥 1년차때는 개인적으로 펀딩을 받아가겠다고 이야기를 했으며, 교수님도 그렇다면 모든 프로세스가 간단해져서 좋다고 했습니다.

참고로 독일에서 포닥하시고 교수 임용되신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었는데 EU 출신이 아니면 대부분 1년차때는 펀딩받는게 좀 어렵다고 합니다ㅠ 근데 간혹 한국에서 회사를 다니며 해외 기관이랑 프로젝트를 같이한 경험이 있어 실력(?)이 검증되면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뭐 전공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들은바로는 그렇습니다 ^^;;;;


아무튼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면...

포닥생활을 하는 곳에서 펀딩을 지원해주지 않는 이상은 국내 또는 해외에서 펀딩을 받아가야 합니다.

이미 다 아시다시피 국내에서는 한국연구재단/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박사후국외연수가 있습니다.

제가 2017년도와 2018년도의 경쟁률을 보니 대략 5.5:1 정도되는 것 같습니다. 뭐 경쟁률이 심하면 심하다고 할수도 있고, 아니라고 하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자세한 규정을 읽어보시면 알겠지만 "동일한 국가에서 50%이상을 선정하지 않는다"라는 규정이 있으니 이 부분도 잘 고려하시면 선정률을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시 말해, 한국연구재단에서 매해 100명을 뽑는데 만약 200명이 지원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리고 그 200명중 상위 100명이 모두 미국을 가겠다고 해봅시다. 그렇다면 상위 100명이 뽑혀야 되는게 일반적이지만 동일한 국가에서 50% 이상을 선정하지 않으니 상위 50명만 뽑히고 남은 50명은 다른 국가로 가겠다고 하는 사람을 뽑겠다고 하는 것입니다.

아래 링크에 첨부되어 있는 엑셀파일을 확인해보시면 실제로 2017년도에 국내 어디 출신 학생들이 해외 어떤 나라 어떤 기관에서 연수를 진행하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나와있으니 이를 참고하시어 전략을 짜시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2017년도 이공 학문후속-국내/외연수 신규과제 최종선정 결과

해당 첨부파일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국내 상위 대학, 예를들어 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고려대 출신들이 100명 중 77명에 해당되지만 이는 상기 대학의 학생들이 뭐 뛰어난 실적을 가지고 있어서도 있겠지만 다른 학교의 학생들이 이에대한 정보가 부족해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참고로 저는 아쉽게도(?) 상기 대학의 출신이 아닙니다 ^^)

아무튼 포기하지 마시길 마랍니다!!


추가적으로 독일 같은 경우는 해외에서 오는 포닥을 위한 연수비를 지원해주는 곳이 있습니다. 이름하여 바로 "Humboldt Research Fellowship for Postdoc Researchers" 입니다 (아래 링크 참고).

http://www.humboldt-foundation.de/web/humboldt-fellowship-postdoc.html

훔볼트의 가장 큰 장점은 최대 24개월까지 지원해줄 뿐만 아니라 매달 기본 고정금 EUR 2,650 (약 한화 350만원) 뿐만 아니라 배우자와 아이들이 있다면 추가적인 수당을 붙여 줍니다.

듣기로는 심사도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독일답게 프로세스도 워낙 드려서 신청자들의 애간장을 녹인다고 합니다 ^^

참고로 국내에서도 졸업예정자라고 하면 훔볼트를 신청 하실 수 있는 자격은 부여됩니다. 그리고 만약 저같이 훔볼트를 통하지 않고 독일에 입국하여 신청하실려고 하는 사람들은 독일 입국하고 6개월 이내에 신청을 해야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링크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저 또한 벌써 독일에서 연구를 시작한지 2개월이 지났으니 만약 신청을 할 계획이라면 4개월안에 신청을 해야겠네요 ^^;;

물론 국내에서 처럼 연구실에서 수행하는 과제를 통해서 연구비를 받으며 포닥생활을 할 수 있지만 훔볼트를 통해 연구비를 받으면 조금더 자유롭게 하고 싶은 연구분야를 눈치 안보고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독일에서 포닥할 경우 국내와 독일에서 받을 수 있는 Fllowship에 대해 각각 하나씩 소개해 드렸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universitymaker #독일 #드레스덴 #포닥 #장학금 #Fellowship #Scholarship

Friday, March 9, 2018

PostDoc #1 - 포닥 컨택 메일 보내기

현재 저는 독일 드레스댄 공대 (TU Dresden)에 한 교수님과 컨택을 완료하였고, 2018년 9월 1일부터 포닥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포닥을 시작하기전에는 개인적으로 자기 자신과 연구분야가 맞는 교수님들께 선택적으로 메일을 보내어 컨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제가 국내에서 SCI 저널을 쓰면서 중요하게 참고했던 논문들의 교신저자를 중심으로 컨택을 시도했습니다.

특히 저는 Multimedia Communication을 전공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독일에 프라운호퍼가 다양하고 참신하고 실제적인 연구를 많이하고 그쪽 논문들도 많이보고 참고도 많이하게 되서 독일을 중심으로 포닥자리를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뭐 다들 포닥하면 미국미국미국하시는데... 뭐 한국사회에서는 틀린말은 아니지만...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실제적인 것을 경험하고, 연구하고, 개발하기에는 독일을 포함한 유럽도 꽤 괜찮을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가면...

컨택을 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국내에서 학-석-박을 하고 바로 포닥을 가는 경우라면 2가지 정도로 압축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지도교수님을 통한 컨택

2. 개인적인 메일을 통한 컨택


지도 교수님을 통한 컨택은 확실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매우 한정적이다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지도 교수님의 네트워크내에서 이루어지다보니 그런것 같아요 ㅠㅠ

그래서 지도교수님을 통해 어느정도 선의 컨택만 해놓고 (보험.....;;;;;)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연구실의 메일을 보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Never Give Up" 절대로 포기하지 않는것!!!

진짜진짜진짜로 몇십개의 메일을 보내도 답장도 않하는 교수들이 정말로 많습니다 ㅠㅠ

뭐 그들 잘못은 아니지만 이는 준비하는 과정에서 엄청나게 주눅이 들 수 있으니 조심조심 또 조심 하세요 ^^;;;

진짜 절대로 포기하지 않으면 답변은 꼭 오기 마련이고... 나중에는 선택해서 연구실에 갈수 가 있는 날이 올것입니다 ㅎㅎㅎ


개인적으로 컨택 메일 뿐만아니라 컨택에 꼭 필요한 추천서 CV 등등의 내용은 아래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https://brunch.co.kr/@cnam/28

저 또한 이 블로그를 통해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


아래는 제가 향후 포닥으로 가려고 하는 TU Dresden의 한 교수님과 컨택한 메일 전문의 샘플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원하며...

모두들 컨택에 꼭 성공하세요!!!

다음 포스팅에는 포닥생활에서 정말로 중요한 F.U.N.D.I.N.G. 즉, postdoctoral fellowship에 대해서 함께 나눠 보겠습니다 ^^

=====

Title: Seeking a Post-doc position from △△△ University (graduating in Aug. 2018)

Dear Prof. ○○○

I am writing to inquire about the possibility of a post-doc position in your research group (From Sept. 2018 for a year). Currently, I am in the eighth semester of my Ph.D. program in 전공명 at 학교이름 and working with Dr. 지도교수. I plan on graduating in Aug. 2018, and have a prospective opportunity to get funding by Post-doc Training abroad in Fostering Next-generation Researchers Program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 of Korea after my Ph.D graduation. (밑줄친 부분은 선택적인 사항인데 아무래도 펀딩을 한국에서 받아갈 생각이다라고 하면 컨택의 문턱이 정말로 확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During my Ph.D. study, my research focuses on 박사과정동안 수행한 간단한 연구내용. Furthermore, during my Master course, I studied 석사과정동안 수행한 간단한 연구내용. So I had read your papers on 컨택할 교수의 연구 내용. Especially, your papers titled “컨택할 교수의 논문 제목 1” and “컨택할 교수의 논문 제목 2” gave me great inspiration. I believe that is indicative of the fact that we share common interests.

Currently, I am interested in 향후 내가 관심있게 연구할 주제.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great promise. As mentioned in the attached CV, I have continued to carry out some projects funded by Korea government about 향후 내가 관심있게 연구할 주제와 관련된 국내 프로젝트 내용. If the opportunity is given, I would like to keep working on this issue,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a little to your research, and also your group will be able to provide necessary opportunities for this research.

Being well aware of your outstanding academic accomplishments, I would greatly appreciate if you provided me with a chance to work as a research fellow under your supervision. You may see details of my research and background in the enclosed CV or at 개인 웹사이트 주소. I am very excited with the prospect of working in your laboratory and I request that you allow me the chance to achieve my goals with you.

The references are available as soon as on your request. Especially Dr. 지도교수수 (Professor, 20XX-present) have indicated that he would be happ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my qualifications and progress at any time. If you want, you can reach Dr. 지도교수 at 지도교수 이메일.

Respectfully yours,

Gil-dong Hong
Ph.D. Candidate,
△△△ University

=====

#universitymaker #독일 #포닥 #컨택

PostDoc #0 - Introduction

현재 나는 서울에 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취득을 앞두고 있다.

그리고 2018년 9월 1일부터 독일에 TU Dresden으로 포닥을 갈 예정이다.

2017년 말부터 포닥을 준비하면서 들였던 시간들...

앞으로 독일로 출국하기 전까지 준비해야될 시간들...

그리고 독일에서 포닥으로 있으며 가족들과 함께 생활할 시간들...

이 모든 시간들이 나와 같은 또 다른이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 모든 내용들을 이 블로그에 정리하고자 한다.

#universitymaker